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21. 정렬된 N개의 데이터를 저리하는데 O(NlogN)의 시간이 소요되는 정렬 알고리즘은?
->합병정렬

22. White Box Test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Base Path Testing, Boundry Value Analysis가 대표적인 기법이다.
White Box Testing의 대표적인 기법은 주로 경로 검사(Path Testing), 조건 검사(Condition Testing) 등이며, 경계값 분석(Boundary Value Analysis)은 Black Box Testing 기법에 더 가깝다.
23.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을 위해 개발자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 간결성
사용성은 주로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항목으로,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의 개발자 관점보다는 최종 사용자 관점에서 더 중요하게 고려된다. 개발자는 주로 정확성, 무결성, 간결성 등을 강조한다.
① 정확성: 요구사항이 어떻게 충족되는지를 측정하며, 소프트웨어의 성능 지표 중 하나이다.
② 무결성: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는 정도로, 품질 측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④ 간결성: 코드의 간결함은 코드 유지 관리와 관련이 깊으므로 개발자는 이를 고려한다.
24.인터페이스 구현 검증도구 중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은?
-서비스 호출,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 -각 테스트 대상 분산 환경에 데몬을 사용하여 테스트 대상 프로그램을 통해 테스트를 수행하고, 통합하여 자동화하는 검증도구 |
->STAF
xUnit: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로 사용되며, 모듈의 각 단위별 검증에 초점을 맞춘다.
FitNesse: 사용자 스토리에 기반한 테스트 작성을 지원하며, 비즈니스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검증을 수행한다.
RubyNode: Ruby 기반의 테스트 도구로,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검증에 사용된다.
25. EAI의 구축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Tree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의 구축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Tree"이다. EAI는 기업 시스템 간 통합을 목표로 하며, 주로 다음과 같은 구축 유형이 존재한다.
EAI 구축 유형 설명
Point-to-Point: 두 시스템 간의 직접적인 통신을 구축하는 방식이다.
Hub & Spoke: 중앙 허브를 통해 여러 시스템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Message Bus: 메시지 버스를 활용하여 시스템 간의 통신을 중개하는 방식이다.
26.다음 트리를 전위 순회한 결과는?
-> +**/ABCDE

C->B->A->D->E->F->G이 논리로 풀면 된다
27. 인터페이스 보안을 위해 네트워크 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는 솔루션과 거리가 먼 것은?
->SMTP
IPSec: 네트워크 계층에서 IP 패킷을 보호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 암호화와 인증을 제공한다.
SSL: 웹사이트와 사용자의 브라우저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이다.
S-HTTP: SSL의 변형으로, 웹 통신을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로 보안 웹 통신을 지원한다.
28. 평가 점수에 따른 성적부여는 다음 표와 같다. 이를 구현한 소프트웨어를 경계값 분석 기법으로 테스트 하고자 할 때 다음 중 테스트 케이스의 입력 값으로 옳지 않은 것은?
->90
경계값 분석(Boundary Value Analysis)은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법 중 하나로, 주로 경계 조건에 근접한 입력 값들을 시험하여 프로그램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입력값의 경계 가장자리 부분을 테스트하게 된다.
29. 반정규화 유형중 중복 체이블을 추가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빌드 테이블의 추가
빌드 테이블은 중복성을 의도하지 않는 추가 설정이며, 주로 설정적 정보를 담고 있어 중복 테이블의 형태가 아님
집계 테이블의 추가: 집계 테이블은 기존 데이터를 요약하여 중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
진행 테이블의 추가: 진행 테이블은 특정 작업의 상태나 진행 상황을 기록하는 테이블로, 중복을 포함할 수 있음.
특정 부분만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추가: 특정 부분만을 포함하는 테이블은 의도적으로 특정 정보를 중복하여 유지하는 경우에 해당함.
30. ISO/IEC 9126의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중 기능성의 하위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학습성
ISO/IEC 9126 의 기능성의 하위특성에는 적합성,정확성,상호 운용성,보안성,준수성 등이 있다.
학습성은 사용성(Usability)의 하위 특성이다.
31. 다음 트리의 차수와 단말 노드의 수는?
->차수 :2. 단말 노드:4
32. 디지털 저작권 관리의 기술 요소가 아닌 것은?
->방화벽 기술
O 크랙 방지 기술: DRM 시스템에서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무단으로 복사하거나 배포하는 것을 방지한다.
O 정책 관리 기술: DRM의 중요한 요소로, 콘텐츠의 사용 조건이나 권한을 관리한다.
O 암호화 기술: 저작권 보호를 위한 핵심 기술이다.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무단 접근을 차단한다.
X 방화벽 기술: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기술로, 저작권 관리와는 관련이 없으며 DRM의 핵심 요소가 아니다.
33. 소프트 웨어 테스트에서 오류의 80%는 전체 모듈의 20%내에서 발견된다는 법칙은?
-> Pareto의법칙
Brooks의 법칙: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비효율성을 다루는 법칙이다. 인원 추가가 오히려 프로젝트 지연을 초래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Boehm의 법칙: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초기 단계의 결정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결정짓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Jackson의 법칙: 특정한 상황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법칙은 아니다. 주로 특정 시스템의 성능이나 요구사항을 분석할 때 사용된다.
34. 소프트웨어의 형상 관리의 의미로 적절한 것은?
-> 개발 과정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는 것
개발 과정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는 것: 소프트웨어의 형상 관리는 개발 중 발생할 수 있는 변경 사항을 시스템적으로 관리하여, 각 버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오류를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형상 관리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35. 알고리즘 시간복잡도 O(1)이 의미하는 것은?
->비정형 명세기법은 사용자의 요구를 표현할 때 Z 비정형 명세기법을 사용한다.
알고리즘 수행시간이 입력 데이터 수와 관계없이 일정: O(1)은 어떤 입력이 들어와도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함.
36. 소스코드 품질분석 도구 중 정적분석 도구가 아닌 것은?
->valMeter
pmd: PMD는 자바, 자바스크립트, XML 등 다양한 언어에 대한 정적 코드 분석 도구이다. 코드의 문제를 찾아내고 최적화를 촉진하는 데 사용되므로 정적 분석 도구이다.
cppcheck: CPPCheck는 C/C++ 코드에 대한 정적 분석 도구로, 메모리 누수, 잘못된 포인터 사용 등을 검사하는 데 사용된다. 그렇기에 정적 분석 도구이다.
checkstyle: Checkstyle은 자바 코드의 스타일을 확인하는 정적 분석 도구이다. 코드 스타일 및 규칙의 준수를 보장하는 데 사용되므로 정적 분석 도구이다.
따라서 정답은 valMeter이다. 이는 정적 분석 도구가 아닌, 품질 측정 도구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품질 분석 도구를 이해하는 것은 코드를 개선하고 유지보수하는 데 유용하다
37. 검증 검사 기법 중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개발자 앞에서 행하는 기법이며, 일반적으로 통제된 환경에서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꼐 확인하면서 수행되는 검사는?
-> 알파 검사
동치 분할 검사: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법으로 주로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할 때 사용되지만, 이 기법은 사용자와 개발자가 같이 확인하는 과정이 아니다.
형상 검사: 개발 과정에서 형상 항목(소스 코드, 문서 등)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 또한 사용자와의 확인 과정이 포함되지 않는다.
베타 검사: 제품이 개발된 후 일반 사용자에게 배포를 통해 품질을 검증하는 단계로, 개발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38. 하향식 통합에 있어서 모듈 간의 통합 시험을 위해 일시적으로 필요한 조건만을 가지고 임시로 제공되는 시험용 모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Stub
Driver: 하향식 통합이 아닌 상향식 통합 시험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하위 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해 상위 모듈의 역할을 대신하는 테스트 모듈이다.
Procedure: 일반적으로 절차적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임시 시험용 모듈과는 거리가 있다.
Function: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으로, 시험용 모듈의 기능을 설명하기에 부족하다.
39.SW 패키징 도구 활용 시 고려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보안상 단일 기종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보안상 단일 기종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진술은 올바르지 않다. 다양한 기종에서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단일 기종에 국한되면 배포 및 확장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40. 외계인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아주 오래되거나 참고문서 또는 개발자가 없어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도 6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0) | 2025.01.23 |
---|---|
2020년도 9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2과목 : 소프트웨어설계 (1) | 2025.01.22 |
2020년도 9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1과목 : 소프트웨어설계 (1) | 2025.01.21 |
2020년도 8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1과목 : 소프트웨어설계 (0) | 2025.01.21 |
2020년도 6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1과목 : 소프트웨어설계 (1)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