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8

2020년도 9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41.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트랜잭션의 특징은?더보기트랜잭션의 연산은 모두 실행되거나, 모두 실행되지 않아야한다.->Atomically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일련의 작업 또는 연산을 하나의 단위로 묶은 것 Consistency (일관성)트랜잭션이 시작하기 전과 후에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트랜잭션이 성공하면 데이터베이스는 이전 상태에서 새로운 일관성 있는 상태로 변해야 한다.데이터베이스의 규칙이나 제약 조건이 항상 유지되어야 한다.Isolation (독립성)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한 트랜잭션이 데이터에 변화를 줘도 다른 트랜잭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예를 들어, 같은 시간에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읽고 쓸 때, 각..

정보처리기사 2025.01.24

2020년도 8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41. 릴레이션 R의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이면 그 릴레이션 R은 어떤 정규형에 속하는가?->보이스/코드 정규형 보이스/코드 정규형(BCNF): 릴레이션 R에 있는 모든 비주요 속성이 후보키에 완전하게 의존해야 함.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여야 함.제 1 정규형(1NF): 모든 속성이 원자값이어야 함.제 2 정규형(2NF): 제 1 정규형을 만족하고, 모든 비주요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이어야 함.제 4 정규형(4NF): 다치 종속이 없는 릴레이션임.42. 다음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relation 1개, attribute 3개, tuple 5개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relation)"은 테이블을 의미하며, "속성(attribute)"은 ..

정보처리기사 2025.01.24

2020년도 6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41. SQL의 분류 중 DDL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UPDATE UPDATE: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값을 수정하는 DML 명령어.ALTER: 기존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구조(예: 테이블) 변경을 위한 DDL 명령어.DROP: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하기 위한 DDL 명령어.CREATE: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DDL 명령어.42. 다음 두 릴레이션에서 외래키로 사용된 것은? (단 밑줄 친 속성은 기본키이다.)과목(과목번호,과목명)수강(수강번호, 학번, 과목번호, 학기)->과목번호 기본키: 각 튜플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속성.외래키: 다른 릴레이션(테이블)에서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속성.과목 릴레이션의 기본키: 과목번호는 다른 속성(과목명 등)과 조합하여 릴레이션의..

정보처리기사 2025.01.23

2020년도 9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2과목 : 소프트웨어설계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21. 소프트웨어패키징 도구 활용 시 고려 사항으로 틀린 것은?->보안을 위하여 이기종 연동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기종 연동은 다양한 플랫폼 및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보안을 우선시 하여 이기종 연동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오히려 보안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기종 연동을 무시한다면 특정 플랫폼에서의 보안 취약점이 다른 시스템으로 확산될 위험이 있다.22. EAI구축유형 중 Hybri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중간에 미들웨어를 두지 않고 각 애플리케이션을 point to point루 연결한다.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구축유형은 기업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정보의 흐름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정보처리기사 2025.01.22

2020년도 6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2과목 : 소프트웨어설계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21. 정렬된 N개의 데이터를 저리하는데 O(NlogN)의 시간이 소요되는 정렬 알고리즘은?->합병정렬22. White Box Test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Base Path Testing, Boundry Value Analysis가 대표적인 기법이다. White Box Testing의 대표적인 기법은 주로 경로 검사(Path Testing), 조건 검사(Condition Testing) 등이며, 경계값 분석(Boundary Value Analysis)은 Black Box Testing 기법에 더 가깝다.23.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을 위해 개발자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간결성 사용성은 주로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항목으로, 소프트웨어 품..

정보처리기사 2025.01.22

2020년도 9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1과목 : 소프트웨어설계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1. XP의 기본원리로 볼 수 없는 것은?->Linear Sequential MethodPair Programming: 두 명의 프로그래머가 한 컴퓨터에서 협력하여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이다.Collective Ownership: 모든 팀원들이 코드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며, 누구나 코드를 수정할 수 있는 원칙이다.Continuous Integration: 코드 변경 사항이 지속적으로 통합되는 프로세스로, 이를 통해 품질을 유지하고 오류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Linear Sequential Method는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 일반적으로 순차적이고 단계적인 접근 방식을 따르며, XP의 본질적인 원리와는 상반된다.2. 럼바우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서 동적 모델링에 활용되는..

정보처리기사 2025.01.21

2020년도 8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1과목 : 소프트웨어설계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1.  요구사항 분석시 필요한 기술로 거리가 먼것->설계 및 코딩 기 요구사항 분석은 사용자의 요구를 이해하는 과정이며, 설계 및 코딩은 그 후의 작업이다.2.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여 어떤 클래스가 인스턴스화 될것인지는 서브클래스가 결정하도록 하는것     - Virtual-Constructor패턴이라고도함 이 디자인 패턴은?->Factory Metrhod패턴 일반적으로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설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형화된 접근 방식이다. 각 패턴은 특정 상황에서의 구조 및 행동을 명시하는 데 사용된다.Visitor 패턴: 객체 구조에 새로운 연산을 추가할 수 있는 기술.Observer 패턴: 객체의 상태 변화에 대해 통지하는 기술.Factory Method 패턴: 객체 생..

정보처리기사 2025.01.21

2020년도 6월 정보처리기사 기출 분석 1과목 : 소프트웨어설계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1.  오류를 조기에 검출하는데 목적을 두는 요구사항 검토방법 ->워크스루 빌드 검증: 빌드가 성공했는지 확인하는 기본 테스트.동료 검토: 팀원이 작업을 검토하는 피드백 과정.개발자 검토: 개발자가 자신의 작업을 다른 개발자에게 검토받는 과정.2. 코드 설계에서 일정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순차 코드 연상 코드: 이미지나 의미를 통해 정보를 표현. 예: 번호 대신 특정한 문구 사용.블록 코드: 고유한 의미를 가진 짧은 숫자/문자 조합으로 구성됨.표의 숫자 코드: 체계적으로 정리된 숫자 형태로 정보를 표현. 주로 매핑된 데이터에 사용됨.3. 객체 지향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추상화하는 단위 -> 클래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OOP) 간단 설명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은 프로그램을..

정보처리기사 2025.01.20
반응형